건강칼럼

홈으로_커뮤니티_건강칼럼

제목

약 먹다가 ‘이런 증상’ 나타나면 즉시 복용 중단해야…콩팥이 보내는 적신호

콩팥(신장)은 우리 몸에서 크게 세 가지 기능을 한다. 노폐물을 걸러 소변으로 내보내는 ‘배설 기능’, 체내 수분이나 전해질 등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항상성 기능’, 그리고 각종 호르몬을 생성하고 활성화하는 ‘내분비 기능’이다. 콩팥은 대표적인 배설기관으로서 약물의 배설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실제로 대부분의 약물은 콩팥에서 해독되고 콩팥을 통해 체외로 배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콩팥에 유해하게 작용하는 대표적인 약물과 즉시 복용 중단을 요하는 위험 증세에 대해 알아봤다.

콩팥에 유해하게 작용하는 대표적인 약물ㅣ출처: 게티이미지뱅크배설기관, 콩팥이 손상되면 어떤 증상이?배설기관인 콩팥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뇨 배설에 전반적인 이상이 나타난다. 배뇨통, 빈뇨, 요금, 야뇨증, 잔뇨감, 다뇨 등의 배뇨 이상 증상이 나타나며, 요중 성분이 변하게 된다. 체의 기능을 하는 사구체가 손상되면 정상 상태에서는 통과하지 않는 성분들이 통과하여 뇨로 배출된다. 또한, 신장의 세뇨관이라는 기관은 필요한 성분을 재흡수 하여 다시 몸속으로 보내고 노폐물은 그대로 뇨로 배설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재흡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되면 신체에 필요한 성분들이 뇨로 배설된다. 이와 같이 정상 상태에서는 배설되지 않는 물질이 배설되면서 혈뇨, 혼탁뇨, 거품뇨가 발생한다. 이 외에도 신장이 위치하고 있는 옆구리 뒤쪽에 통증을 느끼기도 하고, 콩팥의 문제가 생기면서 몸속의 물이 잘 배출되지 않아 부기나 고혈압이 나타날 수 있다. 신독성 약물은 종류에 따라 손상시키는 콩팥의 부위가 다르다.세뇨관 상피세포의 손상세뇨관이란 콩팥을 이루는 가늘고 긴 관으로, 분비와 재흡수 등의 물질 교환을 통해 소변을 만드는 곳이다. 세뇨관 상피세포의 손상은 약물에 의한 직접적 독성 효과 혹은 혈류 공급이 중단되어 세포손상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약물로 △항바이러스제 △항생물질제 △항암제 등이 있다.혈류역학적으로 매개된 콩팥 손상혈류역학적으로 매개된 콩팥 손상이란 콩팥에 혈류량의 감소, 혈관의 수축 또는 확장의 원인으로 사구체 내 압력이 저하되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사구체는 콩팥의 기본 단위로 혈액 속의 노폐물이 걸러지는 부분이다. 쉽게 말하자면 필터 역할을 하는데, 사구체 내 압력이 저하되면 혈액을 걸러내는 콩팥의 기능 자체가 떨어질 수 있다. 대표적으로 △면역억제제 △소염진통제 △항고혈압제 등의 약물을 주의해야 한다.폐쇄성 신질환폐쇄성 신질환은 약물로 인해 사구체 내에 침전이 발생하여 폐쇄를 일으키거나 약물에 의한 결정 침전으로 인해 신결석이 생성되는 것을 뜻한다. △항바이러스제 △항암제 △항생제 △고혈압 치료제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사구체 질환과거 사구체 신염으로 불리던 사구체 질환은 사구체에서 주로 혈액을 거르는 기저막 구조에 발생하는 염증을 의미한다. △신경정신 질환제 △소염진통제 등을 무분별하게 복용할 경우 부작용으로 사구체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세뇨관간질 질환세뇨관간질 질환은 급성 혹은 만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급성 질환은 간질성 염증세포의 침윤, 신기능의 급격한 손실, 전신적인 증상이 가역적으로 나타나며, 만성 질환은 비가역적인 간질의 섬유화와 전신 증상의 부재를 나타난다. 주로 △항바이러스제 △항생제 △신경정신 질환제 △해열진통제 △소염진통제 △통풍 치료제 △위장관계약 △항고혈압제 △항응고제 등이 세뇨관간질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